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머신에 postfix설치 설정 및 letsencrypt를 사용한 SSL 설정을 하겠습니다.
postfix를 설치하고 설정까지 마치면 SMTP프로토콜(메일발송 프로토콜)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앞으로의 작업은 모두 라즈베리파이에서 이루어 지는 작업입니다.
자 그럼 시작하도록 하겠습니다ㅋㅋ
제일 먼저 라즈베리파이에 로그인을 합니다,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apt install postfix
그 다음 위와 같은 명령어를 입력하여 postfix를 설치해 줍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최초 설치시에 위와 같은 화면을 보게 되는데, System mail name:을 입력하는 곳에 메일을 보낼 도메인(저는 당연히 mast3r.com이겠죠?)를 입력해 줍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dpkg-reconfigure postfix
설치가 완료된 이후에 위의 명령어로 postfix에 대한 설정을 다시 구성하도록 합시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dpkg-reconfigure postfix명령어를 입력 하게되면 3번째 옵션부터 설정해야합니다.
제일먼저 시스템관리자의 계정을 입력하는 옵션입니다.
저는 pi계정으로 시스템을 관리하기 때문에 pi를 입력하였습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다음으로는 도착지 설정입니다. postfix가 최종 목적지로 사용할 도메인명을 적어주시면 됩니다.
저는 mast3r.com과 mail.mast3r.com을 최종 목적지로 추가 하였습니다.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![](http: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xBoxReplace_250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L98Ai/btrHaTFeSHe/3xuWKbFnJUhJ12DgJlCBBk/img.png)
나머지 위의 옵션 부분에서는 똑같이 따라하시면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ZCYgY/btrG8YgFKoy/gtCOebCTRRYVGkKsJkK6Bk/img.png)
postconf -e 'home_mailbox = Maildir/'
위의 명령어는 기본 홈 메일박스를 Maildir/로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.
(기본적으로 mbox와 Maildir방식이 있는데 Maildir로 설정합니다.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마다 다른 폴더를 생성한다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H0gtk/btrHcMeNjgc/N0g8wu0rKa4hCbQ9WekBw0/img.png)
이후 SMTP에서 SASL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들입니다
(SASL은 Simple Authentication and Security Layer의 약자로 SMTP를 사용할 때 인증사용을 위한 설정이라고 간단하게 알아두면 될듯합니다.[틀리면 알려주세요!!]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sOvEm/btrG8XPBXo6/Zk2I2wZ9Rh6nt9V8pjRAL1/img.png)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pbP6n/btrHaoyVOGU/JL49q9hZAI125QnPAEC56k/img.png)
다음은 master.cf에서의 주석해제입니다. 붉은 네모에 있는 줄들의 주석을 해제해줍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fVqOU/btrHcKgYud2/XmK9obxs3qptrKz7dL7aCK/img.png)
다음은 SSL인증을 위한 Letsenctpt설치입니다! apache2와 letsencrypt를 설치합니다.
apache2는 letsencrypt에서 인증서를 발급할 때 인증을 위하여 필요하기 때문에 같이 설치 합니다.
두 패키지가 설치 된 이후에 인증을 위해서 systemctl stop apache2로 아파치를 중지시켜줘야 합니다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eEeOU5/btrHdcxLrlA/6kTnOArTc9Wvznq1pI9LYK/img.png)
certbot certonly --agree-tos -email [email] -d [mail.[domail]]
위 명령어를 입력하고 나오는 옵션의 2번째 옵션을 선택하여 인증서를 발급받습니다.
성공적으로 발급받게 되면 위와같이 Congratultations!이라는 메세지가 나오게 됩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cg5nEe/btrHaTL1L69/h4kKq8TBXNiaNrejOFhPH1/img.png)
다음은 인증서 자동 갱신 방법입니다.
crontab -e
위 명령어로 root에 대한 crontab을 변경해주도록 합시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C6gK4/btrG88iRIho/xgrpfgrkHiC8O1ISkzHr21/img.png)
crontab의 맨 아래로 가서 위와같이 해당 줄을 추가해주도록 합시다.
간단하게 설명 하자면 매월 1일 01시 00분에 apache2를 종료시키고 03분에 인증서를 갱신시킨다라는 명령어 2줄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2U9UX/btrG8Rn6MQT/qzIAk6oOYuVTBkpkJIp9K0/img.png)
위는 생성된 인증서를 이용해서 SMTP를 설정하는 명령어들입니다.
![](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uGFXw/btrHdsAmX96/qwtnUiOGS4MarSbd56gS2K/img.png)
모든 설정이 완료되었으면 systemctl restart postfix라는 명령어를 입력하여 postfix를 재시작하도록 합니다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초보를 위한 NCP(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) WordPress 3 Tier 구축 - 2 (2) | 2022.07.22 |
---|---|
초보를 위한 NCP(네이버 클라우드 플랫폼) WordPress 3 Tier 구축 - 1 (0) | 2022.07.14 |
Postfix, dovecot, letsencrypt 를 이용한 메일서버 구축 - 4 (0) | 2022.07.13 |
Postfix, dovecot, letsencrypt 를 이용한 메일서버 구축 - 3 (0) | 2022.07.13 |
Postfix, dovecot, letsencrypt 를 이용한 메일서버 구축 - 1 (0) | 2022.07.13 |